절대 주의 사항! 필리핀에서 고층의 콘도 절대 주의(20)![]()
Views : 12,785
2023-02-08 15:20
자유게시판
1275404154
|
필리핀은 활화산 많고, 태평양 지진대에 바로 위치한 섬나라입니다.
나라 자체가 화산 활동으로 생겨난 섬으로 이루어진 곳입니다.
현재 터키와, 시리아를 강타한 7.6보다 강도한 강한 7.8의 지진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검색해보면, 금세 알 수 있는 큰지진의 역사가 있는 나라입니다.
필리핀의 부자들은 1층 형태의 벙갈로라 불리우는 집을 지어 삽니다.
오랜 지진의 역사를 알기 때문에 나온 지혜입니다.
고층 콘도를 매입할 계획이시거나, 거주 할 계획이라면
꼭 다시 한 번 지진의 역사를 검색해 보시고,
1990년 루손섬 지진 피해 사진 참고하세요.
나라 자체가 화산 활동으로 생겨난 섬으로 이루어진 곳입니다.
현재 터키와, 시리아를 강타한 7.6보다 강도한 강한 7.8의 지진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검색해보면, 금세 알 수 있는 큰지진의 역사가 있는 나라입니다.
필리핀의 부자들은 1층 형태의 벙갈로라 불리우는 집을 지어 삽니다.
오랜 지진의 역사를 알기 때문에 나온 지혜입니다.
고층 콘도를 매입할 계획이시거나, 거주 할 계획이라면
꼭 다시 한 번 지진의 역사를 검색해 보시고,
1990년 루손섬 지진 피해 사진 참고하세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그리메 [쪽지 보내기]
2023-02-08 15:31
No.
1275404160
음.. 이런 글은 뭔가 안 어울리는거 같네요.
첫째, 지진이 한국보다 강한거 이미 거의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둘째, 콘도 그렇게 쉽게 안 무너져요.
누구 말로는 한국보다 내진쪽으로는 설계가 잘됐다는 말도 있는데,
사실인진 몰라도 그렇게 쉽게 안무너져요.
셋째, 한국사람이 마닐라시내에서 콘도 말고 어디에 머물 수 있을까요?
한계가 있는 말입니다.
넷째, 한국도 지진에 무너진 건물이 있었어요.
그렇다고 아파트에 머물 때 조심하라고 안하죠.
이미 필리핀에서는 지진에 대한 내진설계가 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걸 믿고 거주하는 겁니다.
그리고 큰 지진 두번왔을 때도, 적어도 메트로 마닐라안에서는 영향 받은 콘도 없었습니다.
그때 높은 빌딩에 근무하고 있었는데, 창문쪽에 있을 때 정말 무서웠어요.
흔들리는게 느껴지는 정도를 지나서 흔들리는게 보였으니까요.
옆 사무실 여자한명은 놀래서 실신할 정도였으니까요.
여하튼 안어울리는 글이네요.
첫째, 지진이 한국보다 강한거 이미 거의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둘째, 콘도 그렇게 쉽게 안 무너져요.
누구 말로는 한국보다 내진쪽으로는 설계가 잘됐다는 말도 있는데,
사실인진 몰라도 그렇게 쉽게 안무너져요.
셋째, 한국사람이 마닐라시내에서 콘도 말고 어디에 머물 수 있을까요?
한계가 있는 말입니다.
넷째, 한국도 지진에 무너진 건물이 있었어요.
그렇다고 아파트에 머물 때 조심하라고 안하죠.
이미 필리핀에서는 지진에 대한 내진설계가 되어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걸 믿고 거주하는 겁니다.
그리고 큰 지진 두번왔을 때도, 적어도 메트로 마닐라안에서는 영향 받은 콘도 없었습니다.
그때 높은 빌딩에 근무하고 있었는데, 창문쪽에 있을 때 정말 무서웠어요.
흔들리는게 느껴지는 정도를 지나서 흔들리는게 보였으니까요.
옆 사무실 여자한명은 놀래서 실신할 정도였으니까요.
여하튼 안어울리는 글이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AL ARKI SONG [쪽지 보내기]
2023-02-08 15:35
No.
1275404161
1990년 루존 지진때 진앙지는 누에바에시아 이고 저사진은 바기오 입니다
현재 마닐라의 고층 빌딩, 콘도들은 내진설계인걸로 압니다.
지진에 취약한 건물은 오래된 높지 않은 건물들 이걸 조심해야 합니다.
현재 마닐라의 고층 빌딩, 콘도들은 내진설계인걸로 압니다.
지진에 취약한 건물은 오래된 높지 않은 건물들 이걸 조심해야 합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로즈티 [쪽지 보내기]
2023-02-08 15:48
No.
1275404165
걱정하시는 부분이 어떤건지는 잘 알겠지만
집이나 콘도 구매시 지진 보다는
상하수도 시설, 침수 지역, 정전, 치안 확인을 더 하게 되는게 사실이고
그 부분이 지진 보다는 더 우려 되더라구요..
............
그러고보니 이것저것 문제 없는곳을 찾으려면
어디서도 못살거 같네요
집이나 콘도 구매시 지진 보다는
상하수도 시설, 침수 지역, 정전, 치안 확인을 더 하게 되는게 사실이고
그 부분이 지진 보다는 더 우려 되더라구요..
............
그러고보니 이것저것 문제 없는곳을 찾으려면
어디서도 못살거 같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b386b9 [쪽지 보내기]
2023-02-08 15:51
No.
1275404167
내진설계 제대로 되지않은 저층주택이 콘도보다 훨씬더 위험합니다.
고층콘도는 흔들리며 충격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쉽게 무너지지 않습니다.
지진때문에 주택에 산다는것이 가장 무식한 일입니다. 비닐하우스나 초가집이면 인정합니다.
고층콘도는 흔들리며 충격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쉽게 무너지지 않습니다.
지진때문에 주택에 산다는것이 가장 무식한 일입니다. 비닐하우스나 초가집이면 인정합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ong Min Kim [쪽지 보내기]
2023-02-08 16:53
No.
1275404179
내진설계된 콘도가 무너질 정도로 큰 재해가 닥친다면
그냥 운명에 맡기도록 합시다.
어쩌다 오는 재해 때문에 고층 살지 마라는 너무 설득력이 없음.
그냥 운명에 맡기도록 합시다.
어쩌다 오는 재해 때문에 고층 살지 마라는 너무 설득력이 없음.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AL ARKI SONG [쪽지 보내기]
2023-02-08 16:59
No.
1275404180
벙갈로 NO NO
BUNGALOW
미국식[│bʌŋɡəloʊ]
영국식[│bʌŋɡələʊ]
BUNGALOW
미국식[│bʌŋɡəloʊ]
영국식[│bʌŋɡələʊ]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shil88 [쪽지 보내기]
2023-02-08 17:13
No.
1275404185
1층집이 더 위험해 보이던데요.
비 조금만 와도 녹슬어 버리는 철근에다 강도 확인도 안되는 비빔시멘트 넣어 만든 기둥에 손으로 잡으면 부서지는 블럭으로 쌓아올린 집들이 그리 튼튼하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오히려 안전을 생각하면 신축 고층 콘도가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기둥자체가 한국보다 더 튼튼합니다.
39츨에서 강도 6.5짜리 지진 겪어봤는데......정말 휘청휘청하더군요.
그렇지만 외벽 손상 하나 없었습니다.
비 조금만 와도 녹슬어 버리는 철근에다 강도 확인도 안되는 비빔시멘트 넣어 만든 기둥에 손으로 잡으면 부서지는 블럭으로 쌓아올린 집들이 그리 튼튼하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오히려 안전을 생각하면 신축 고층 콘도가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기둥자체가 한국보다 더 튼튼합니다.
39츨에서 강도 6.5짜리 지진 겪어봤는데......정말 휘청휘청하더군요.
그렇지만 외벽 손상 하나 없었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뿌꾸 [쪽지 보내기]
2023-02-08 18:03
No.
1275404191
2월 1일부터 8일까지 필리핀 전역에 걸쳐서 진도 4 이상의 지진이 몇번이나 났는지 아시나요? 총 14번입니다.
2017년에 포항에서 이재민 2천명이 발생했던 지진이 진도 5.5인데
2월 1일 다바오에서 발생한 지진이 6.0 입니다.
2월 1일에 다바오에서 발생한 지진 관련 피해 뉴스 보셨나요?
지진이 거의 안일어나는 동네에서야 내진설계 같은거 상관없이 그냥 짓지만
허구헌날 지진이 일어나는 동네에서 그렇게 했다가는 한번에 폭삭 무너집니다.
그만큼을 고려해서 짓는다는 얘기입니다.
2017년에 포항에서 이재민 2천명이 발생했던 지진이 진도 5.5인데
2월 1일 다바오에서 발생한 지진이 6.0 입니다.
2월 1일에 다바오에서 발생한 지진 관련 피해 뉴스 보셨나요?
지진이 거의 안일어나는 동네에서야 내진설계 같은거 상관없이 그냥 짓지만
허구헌날 지진이 일어나는 동네에서 그렇게 했다가는 한번에 폭삭 무너집니다.
그만큼을 고려해서 짓는다는 얘기입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톰과제리@네이버-15 [쪽지 보내기]
2023-02-08 18:05
No.
1275404193
고층건물이 더 마니 흔들리긴합니다 무섭기도 하구요 허물어지는 모르겠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자유시간. [쪽지 보내기]
2023-02-08 18:23
No.
1275404201
지진나면 그냥 운명에 맡길수 밖에 없어요..ㅎㅎ 저는 2018년도 말인가 루손섬 진도 7.0이상의 강진 왔을때 호텔에 있었는데요... 그냥 어 어 하다가 끝나 버리더라구요. 밖으로 나갈 생각도 못해요. 밖으로 나가는데 시간 걸리는데 그렇다고 창밖으로 뛰어 내릴수도 없구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AL ARKI SONG [쪽지 보내기]
2023-02-08 20:41
No.
1275404229
마닐라 사진이라고 했다가 루존섬이라고 바꿨네요~ㅋ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VIVERE VIVO [쪽지 보내기]
2023-02-08 21:59
No.
1275404255
나도 1층에 살고 있음
콘도나 아파트는 위험하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함
콘도나 아파트는 위험하기도 하고 답답하기도 함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희준이아빠 [쪽지 보내기]
2023-02-09 07:10
No.
1275404306
8 포인트 획득. ... 힘내세요!
전 1층 방갈로. 부자다... 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처처왕 [쪽지 보내기]
2023-02-09 09:27
No.
1275404326
지진 리히터 5 와 6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지진 강도가 일단 6.5 이상부터가 큰 피해를 줍니다.
7이 넘어가면 그 때부턴 소수점 하나의 차이가 5 와 6의 차이보다 더 커집니다.
즉 7.4 와 7.7은 수치상 0.3 차이 밖에 나지 않지만 피해는 3배 이상 난다고 봅니다.
루손섬 특히 마닐라 지진 역사를 보면, 큰 지진이 날 확률이 어느 때 보다 높습니다.
필리핀은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태평양단층에 바로 붙어 있는 나라입니다.
판단은 각자 알아서...
지진 강도가 일단 6.5 이상부터가 큰 피해를 줍니다.
7이 넘어가면 그 때부턴 소수점 하나의 차이가 5 와 6의 차이보다 더 커집니다.
즉 7.4 와 7.7은 수치상 0.3 차이 밖에 나지 않지만 피해는 3배 이상 난다고 봅니다.
루손섬 특히 마닐라 지진 역사를 보면, 큰 지진이 날 확률이 어느 때 보다 높습니다.
필리핀은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태평양단층에 바로 붙어 있는 나라입니다.
판단은 각자 알아서...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처처왕 [쪽지 보내기]
2023-02-09 09:42
No.
1275404331
@ 처처왕 님에게...
7.0 이상은 0.1 높아질 때 마다 10배의 에너지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고,
건물 피해는 배로 증가합니다.
7.0 이상은 0.1 높아질 때 마다 10배의 에너지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고,
건물 피해는 배로 증가합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AL ARKI SONG [쪽지 보내기]
2023-02-09 09:39
No.
1275404329
@ 처처왕 님에게...
그죠 지진 확율이 높죠 근데 역사적으로 보면
마닐라보다른 다른 곳에 피해가 많죠?
조심하자는 이야기는 알겠는데 어떤 근거로 고층 콘도가 위험하냐느니
부자는 1층 방갈로니 마닐라가 어느때보다 지진 확율이 높다드니
이런이야기를 하시는거죠?
그죠 지진 확율이 높죠 근데 역사적으로 보면
마닐라보다른 다른 곳에 피해가 많죠?
조심하자는 이야기는 알겠는데 어떤 근거로 고층 콘도가 위험하냐느니
부자는 1층 방갈로니 마닐라가 어느때보다 지진 확율이 높다드니
이런이야기를 하시는거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한화 차기감독 송진우@네이버-37 [쪽지 보내기]
2023-02-09 10:41
No.
1275404345
잘못된 정보는 누구에겐 큰 피해를 줍니다.
내진 설계 완벽히 된 콘도가 무너질 정도면..
1층 단독주택은 초토화가 됩니다
엄청 큰 강진이 오면.. 1층 집이 제일 먼저 무너지는데요
비행기는 위험하니 버스타고 간다는 소리와 같습니다.
실제 사고로 사망할 확율은 비행기가 현저히 낮습니다.
내진 설계 완벽히 된 콘도가 무너질 정도면..
1층 단독주택은 초토화가 됩니다
엄청 큰 강진이 오면.. 1층 집이 제일 먼저 무너지는데요
비행기는 위험하니 버스타고 간다는 소리와 같습니다.
실제 사고로 사망할 확율은 비행기가 현저히 낮습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Baron [쪽지 보내기]
2023-02-09 17:16
No.
1275404449
필리핀은 기본적으로 고층 건물 지을때 무조건 내진 설계 및 서류 통과해야만 합니다.
그거 통과 안하면 건축 허가 안나옵니다. 그리고 웬간한 고층 건물들은 전부 내진 때문에라도 H BEAM 샌드위치 구조로 건물 외형을 잡습니다. (예전 콘도 건물주 겸 건설업자 중국계 필리피노 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임. 자기들이 지은 콘도 최상층에 그 건축가 건물주 대가족이 거주)
다만, 보통 건물이 무너지면 10층 이하의 작은 상가, 아파트들이 훨씬더 파괴가 잘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닐라에서 지진 제대로 발생하면 그냥 제 명줄 대로 가는거라 보시는게 맞을 겁니다.
올티가스, 마카티, BGC가 사실 마닐라 광역시에서는 가장 위험한 곳 입니다.
올티가스가 위치한 곳에 Marikina Fault 라고 마리키나 지각판이 위치하고 있어서..
거기서 한번 지각이 틀어지면 큰 데미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땅이 틀어지면
그냥 엄청난 재앙 발생하는 겁니다. 궁금하면 구글에 Marikina Fault (마리키나 폴트) 로 검색해보세요
그거 통과 안하면 건축 허가 안나옵니다. 그리고 웬간한 고층 건물들은 전부 내진 때문에라도 H BEAM 샌드위치 구조로 건물 외형을 잡습니다. (예전 콘도 건물주 겸 건설업자 중국계 필리피노 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임. 자기들이 지은 콘도 최상층에 그 건축가 건물주 대가족이 거주)
다만, 보통 건물이 무너지면 10층 이하의 작은 상가, 아파트들이 훨씬더 파괴가 잘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닐라에서 지진 제대로 발생하면 그냥 제 명줄 대로 가는거라 보시는게 맞을 겁니다.
올티가스, 마카티, BGC가 사실 마닐라 광역시에서는 가장 위험한 곳 입니다.
올티가스가 위치한 곳에 Marikina Fault 라고 마리키나 지각판이 위치하고 있어서..
거기서 한번 지각이 틀어지면 큰 데미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땅이 틀어지면
그냥 엄청난 재앙 발생하는 겁니다. 궁금하면 구글에 Marikina Fault (마리키나 폴트) 로 검색해보세요
입바른말닷컴
캐나다.미국.한국.필리핀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백만돌이뱀샷 [쪽지 보내기]
2023-02-10 04:30
No.
1275404554
원자력 무섭다고 원전 폐기?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pis0127 [쪽지 보내기]
2023-02-23 14:10
No.
1275407499
위험은 어디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거 무섭다고 살지 못할 이유없고, 정 싫으면 떠나야지요.
그거 무섭다고 살지 못할 이유없고, 정 싫으면 떠나야지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No. 92622
Page 1853

태국 여성에 '작업' 걸다 뉴스까지..
(4)
Alissa
760
23-03-28



재치잇고.유머스러운남자가되고싶네요 (3)
02b3d6
779
23-03-28


필리핀의 운전 습관 (19)
Justin Kang (강태...
1,766
23-03-28


필리핀 코스트가드 기부건에 관한 내용.
(2)
1
Neo Park
1,069
23-03-28




필리핀 이민 고민 (41)
c6544e
2,144
23-03-27


일요일 일요일밤에
(8)
1
파블로조
1,394
23-03-26



코스터
(12)
1
파블로조
2,753
23-03-25



싸게 항공권 구매 팁 (2)
희망나무
2,395
23-03-24

Deleted ... ! (2)
김태호@구글-ZP
599
23-03-24

Deleted ... ! (13)
이정수(John Lee)
2,129
23-03-24

가내수공업
(6)
2
파블로조
2,369
23-03-24



스마트폰 eSIM 관련 질문드려요. (3)
magi1919
1,255
23-03-24

이제 겨우 4년차
(8)
2
둥근자갈
2,319
23-03-24



야간작업
(25)
1
파블로조
3,487
23-03-23



필리핀은 기본 성능기록부 같은게 존재하나요? (15)
독종귀족@네이...
949
23-03-23

bmw 중고차를 보시는 방법 (4)
02b3d6
1,118
23-03-23

틱톡, 크레인, 풍선, 쇼핑앱 등
1
DDUK BUL
502
23-03-23


Deleted ... ! (19)
이정수(John Lee)
3,300
23-03-23

글로브심카드등록 비자소지자의 경우 (1)
hanbin001
1,426
23-03-23

디누구안
(23)
1
파블로조
6,541
23-03-22



개팔자 상팔자. (3)
3a97ae
2,849
23-03-22

필리핀 일주여행 계획
(39)
1
Justin Kang (강태...
4,889
23-03-22



빙이 갑자기 튀어나옴
(13)
DDUK BUL
4,307
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