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banner image
Advertisement banner image
Image at ../data/upload/3/2628733Image at ../data/upload/9/2628729Image at ../data/upload/8/2628728Image at ../data/upload/6/2628716Image at ../data/upload/6/2628606Image at ../data/upload/5/2628405Image at ../data/upload/5/2628395Image at ../data/upload/1/2628261Image at ../data/upload/3/2628233
Sub Page View
Today Page View: 106,271
Yesterday View: 113,607
30 Days View: 2,714,599
Image at ../data/upload/6/2351706

코로나19 팬데믹은 언제 어떻게 끝나려는지?(5)

Views : 13,024 2020-05-30 18:32
자유게시판 1274826975
Report List New Post
100여년전 팬데믹 스페인 독감이 어떻게 끝났는지는 아직까지 수수께끼다. 의료진들이 철저하게 방역을 하고 예방책을 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하지만 그 설명도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스페인 독감은 아직도 발원지가 불명이며 미국,프랑스,중국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비행기로 확산이 되었지만 그당시에는 철도가 확산의 주범으로 간주된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도 없이 5천만명의 사망자를 유발하고 1년만에 전염병이 소멸된 사유는 Quora에 전문가들의 대답이 있고 이글은 여러개의 글을 편집했습니다. 글이 길다고 짜증내지 마삼^^

@티모시 슬라이(Timothy Sly), 유행병학자, 2018년 2월 23일 답변

모든 유행성 팬데믹은 종식된다. 아무런 처방이 없는 곳에서도 전염병은 자연스럽게 소멸된다.

초기적, 민감한 사람들이 전염을 경험한다. 죽는 경우도 있고 회복되는 경우도 있다. 회복되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 면역성이 생길 것이다. 전체 인구 중 면역성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나고, 전염병 확산율(Ro)이 1.0이 될 때까지 전염병 확산은 사라지게 된다. 이 수치는 새 확진자 1명이 1명 이상에게 전염시킬 가능성을 의미하는데, 이 단계에 이르면 전염병은 증가세를 멈추게 된다.

이후 전염병 확산은 사라지고 질병은 약화되고 죽어간다. 감염되지 않거나 민감한 사람들은 여전히 관찰되어야 하지만, 그 숫자는 무시될 정도가 된다.

1918 팬데믹 이후 조류독감 A 인플루엔자가 계절적 인플루엔자의 성격을 띠었다. 많은 사람들이 면역력을 얻게 되면서 위협은 사라졌다. 물론 인플루엔자는 돌연변이를 일으킬수도 있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충분한 항원(antigen)이 인지되면 처음처럼 확산되지 않는다. 2009년 신종플루(Pan/A/H1N1)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났다. 이 인플루엔자는 그 후에도 유행되었지만 나중에 나타난 B형 인플루엔자(A/H3N2)보다 고통스럽지 않았다. 지금(2018년)의 H3N2 인플루엔자는 50년전인 1968년에 처음 나타나 팬데믹을 일으켰던 사실을 기억하라. 또 2009년의 H1N1은 앞서 1세기전 1918년 바이러스였다.

@ 피피 그로빙(Pippi M. R. Groving), 생의학 연구자, 2014년 10월 28일 답변

스페인 독감은 사라지지 않았다. 다만 돌연변이를 해서 덜 심각해졌을 뿐이다.

스페인 독감도 조류독감이나 돼지독감처럼 다른 생물체로 전이되었다. 많은 성인이 죽어가는 전쟁이란 상황이 인류를 약화시켰을 때 크게 번졌다.

독감은 대개 초기 대확산 이후에 사람들이 면역력을 갖거나 죽은 후에 진정된다. 독감은 잠시 후에 다시 나타나 이전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을 전염시킨다.

스페인 독감과 밀접하게 관련된 바이러스가 2009년에 H1N1이란 바이러스로 돌아왔다. 그러내 효과적인 백신 프로그램과 세계적인 의료기술 향상 덕분에 과거와 같은 팬데믹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 앤드류 콕스(Andrew Cox), 유행병학자(에딘버러대), 2018년 2월 22일 답변

가장 큰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회복되어 결과적으로 면역력이 생겼다는 사실이다. 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성 질병은 기본적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쉽게 전이하고 변이한다. 그런 점에서 빠르게 전염되기도 하지만 감염에서 생기는 면역력에 의해 쉽게 제어된다는 약점을 갖는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회복된 사람들이 면역력을 갖게 된다. 바이러스가 변이되지 않는다면 많은 사람들이 면역력을 갖게 되고 바이러스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변이된 바이러스가 종전에 그 바이러스에 노출된 사람들을 다시 감염시킬수 있다. 일단 전염이 발생하면 면역 시스템이 바이러스를 제어하거나, 사람이 죽을 때까지 짧은 시일에 전염이 확산된다. 일단 면역되거나 죽는다면 더 이상 전염 대상이 되지 않는다. 사람이 죽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에게 좋은 일은 아니다. 면역력이 생기거나 죽은 사람이 많아져 바이러스가 짧은 시간 내에 다른 사람에게 옮겨지지 않는다면 유행병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에피데믹 또는 팬데믹의 상황 속에서 전이 가능성이 낮아질 때까지 어느 정도 바이러스의 활동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 로버트 데버(Robert Devor), 미생물학자, 스포츠애호가, 2020년 2월 14일 답변

전염성 바이러스 혼합체가 일단 발생하면 약화된 형태로 진화를 하며, 시간을 두고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질병이 그러했고, 시간이 지나면 약화되고 맹독성도 줄어든다. 맹독성을 강화하는 데는 두가지 요인이 있다. 인구밀집과 전염 형태다.

1917 인플루엔자 감염은 처음에는 약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미군 병사가 배에 올라타고 유럽에 도착하면서 맹독성이 심해졌고, 양측 전쟁에서 많은 사망자를 내게 했다. 결과적으로 전쟁이 서둘러 끝났다. 불행하게도 고도의 유행병 감염이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2천5백만명이 사망했다. 1919년 여름에 감염 환자를 격리시키고 치료하는 의료 서비스 덕분에 인구밀집의 문제는 해소되었고, 바이러스도 약화되고 마침내 종식되었다. 종국적으로 면역력을 가진 생존자들이 인플루엔자를 극복하고, 바이러스가 약한 것으로 변이하면서 질병은 끝났다.

@ 슐러밋 위도스키(Shulamit Widawsky), 정신건강 전문가 및 작가, 2014. 10. 28. 답변

아무도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읽은 유일한 이론은 스페인 독감의 세 번째 파동을 거치면서 전세계인구의 1/5이 감염되었고, 감염자가 면역성을 갖거나 죽었다는 사실이다.

당시 국제적으로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았다. 1차 세계대전으로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죽어갔고, 문자 그대로 많은 사람들이 진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기록적인 팬데믹 국면이 나타났다.

@ 린 나제라(Rene Najera) 존스홉킨스대 블룸버그스쿨 공공건강학부, 2018. 2. 22, 답변

유행병은 몇가지 이유로 끝난다. 민감성이 높은 수많은 사람들이 전염병을 버틸만한 수위 이하로 내려가거나 (추운 계절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전염병에 걸린다. 1차 세계대전으로 군인들이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 전세계에 확산시켰다. 전쟁은 1918년 11월에 끝났다. 이론은 많다. 하지만 왜 팬데믹이 끝났는지 실제적인 이유를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

질의 중... 30초 정도 걸려요 ...
  본 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Report List New Post
하얀고무신 [쪽지 보내기] 2020-05-30 18:56 No. 1274826995
51 포인트 획득. 축하!
조만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되기를 바라는 마음 입니다

뭔 갑자기 정말 어이가 없어진 ㅎㅎ
바다낚시관광 [쪽지 보내기] 2020-05-30 19:53 No. 1274827038
3 포인트 획득. ... 쉬엄 쉬엄~
@ 하얀고무신 님에게..당연히 진정은 될겁니다.
단지 그 시기가 언제냐가 관건이고요.
암튼 건강한 모습으로 뵙기를 기대합니다~~
조지네 [쪽지 보내기] 2020-05-30 21:37 No. 1274827123
38 포인트 획득. 축하!
지금까지 이전 여러국가에서 발생한 전염병과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와는 비교가 안되는 그야말로 펜데믹 상황입니다 아직어느나라도 확실하 처방이 나오지 않아 더 이상 어디까지 갈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EmptySpace [쪽지 보내기] 2020-05-30 21:46 No. 1274827136
67 포인트 획득. 축하!
1918년 5월 처음 발견된 이래 1년 동안 전 세계에서 6억명 이상을 감염시키고 최대 1억명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은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꼽힌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780만명이 감염돼 14만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명칭이 '스페인 독감'이어서 스페인에서 유래했다고 착각할 수 있지만 유럽에 파병하기 위해 징집된 미군 부대 혹은 프랑스에 주둔한 영국군 부대가 근원지로 유력하게 꼽힙니다. '스페인 독감'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당시 제1차 세계대전 한복판에서 유럽 국가들이 언론을 통제하고 있었는데 유일하게 참전하지 않았던 스페인 언론이 독감을 대대적으로 보도했기 때문입니다(일본 뇌염, 홍콩 독감 등 국가명이 들어간 다른 전염병에 비해 스페인은 억울할 수 있겠죠).

스페인 독감은 유독 젊은 층에게 치명적이었고 폐렴을 유발했는데, 처음엔 원인이 세균이라고 여겨졌으나 나중에 바이러스가 원인임이 밝혀졌습니다. 2005년엔 한 연구진이 스페인 독감이 조류독감과 같은 유형의 인플루엔자임을 규명했습니다.

스페인 독감 창궐은 제1차 세계대전 종식 계기가 됐고 전쟁이 끝나면서 잠잠해졌지만 이 바이러스는 이후에도 살아남아 1968년 홍콩 독감, 2009년 세계보건기구(WHO)가 21세기 첫 팬데믹으로 선언한 신종플루(돼지독감), 2013년 조류인플루엔자 등으로 변형돼 계속되고 있습니다.

출처 : 매경프리미엄, 2020. 2. 29
Stepan [쪽지 보내기] 2020-05-31 09:45 No. 1274827380
10 포인트 획득. ... 힘내세요!
좋은 자료. 유익한 내용 덕분에 큰도움 되었습니다.
어렵게 구했을 자료들인데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그당시 스페인 독감 치료제는 나오지 않았나요?

코로나 바이러스도 많은 연구가 있었을것 같은데 아무도 발표를 하지 않는건지 아니면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 때문에 공개를 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언제나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자유게시판
필리핀 코로나19 상황
신규 확진자
+502
신규 사망자
새 정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No. 95493
Page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