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골조 공사의 중요성(11)![]()
Views : 2,507
2023-03-13 15:46
자유게시판
1275411092
|
요즘 필리핀 건축 관련 공부를 약간 하고 있는데, 유투브에 올라온 기초공사 하는 것들 보면 한국기준과는 말할것도 없지만, 필리핀 자체 규정도 너무 안지키고 개판인 것들이 너무 많더군요. 철근 공사 제대로 필리핀 규정에 맞게 하고 콘크리트 붇는 데가 오히려 드뭅니다.
가벼운 지진에도 훅 무너질 집을 짓고 싶지 않다면, 싸다고 "싼" 현지 업체에게 맡겨놓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진은 우리동네 짓다가 스톱된 건물인데, 기초 공사를 어떻게 했는지 1층 기둥이 다 성냥개비 쓰러지듯이 기울어 져 있죠. 저걸 어떻게 철거하고 새로 지을지 참 갑갑 해 보입니다.
가벼운 지진에도 훅 무너질 집을 짓고 싶지 않다면, 싸다고 "싼" 현지 업체에게 맡겨놓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진은 우리동네 짓다가 스톱된 건물인데, 기초 공사를 어떻게 했는지 1층 기둥이 다 성냥개비 쓰러지듯이 기울어 져 있죠. 저걸 어떻게 철거하고 새로 지을지 참 갑갑 해 보입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DUK BUL [쪽지 보내기]
2023-03-13 21:00
No.
1275411144
현지 로컬 업체 아니면 어디에 맡기시게요 ㅎㅎ
한국업체? 외국업체?
얼마냐 튼튼하게 만드는냐는
투입된 돈에 대략적으로 정비례 하는 겁니다 ㅎㅎ
관리감독 잘 해야 하는 건 기본이고
아직 건축비만 50M 이상 짜리 집을 못 보셨구만 ㅎㅎ
한국업체? 외국업체?
얼마냐 튼튼하게 만드는냐는
투입된 돈에 대략적으로 정비례 하는 겁니다 ㅎㅎ
관리감독 잘 해야 하는 건 기본이고
아직 건축비만 50M 이상 짜리 집을 못 보셨구만 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 (강태욱) [쪽지 보내기]
2023-03-13 23:37
No.
1275411172
@ DDUK BUL 님에게...
아 제말은 "싼", 할로블락으로 벽부터 쌓고 기둥을 나중에 세우는(세우는 게 아니라 붙이는) 최저가 현지 업체요. 본문 수정하겠습니다.
직접하면 머리만 아프고 오히려 돈은 더 드니까 싼 현지업체에다 골조공사는 맡기는게 낫다는 예기들 많이 봤는데, 싼게 비지떡 일 수도 있는 거죠.
그리고 대안은 비현지 업체가 아니라 비싼 업체 혹은 건축주가 직접 붙어서 공정관리 하는 걸 말하는 거였습니다. 몇몇 인터넷 동영상들 보면, 저렇게 지은집 들어가서는 무서워서 잠도 안오겠더군요. 근데 또 그렇게 지은 집들도, 다 짓고 나서 겉보기는 멀쩡해요.
아 제말은 "싼", 할로블락으로 벽부터 쌓고 기둥을 나중에 세우는(세우는 게 아니라 붙이는) 최저가 현지 업체요. 본문 수정하겠습니다.
직접하면 머리만 아프고 오히려 돈은 더 드니까 싼 현지업체에다 골조공사는 맡기는게 낫다는 예기들 많이 봤는데, 싼게 비지떡 일 수도 있는 거죠.
그리고 대안은 비현지 업체가 아니라 비싼 업체 혹은 건축주가 직접 붙어서 공정관리 하는 걸 말하는 거였습니다. 몇몇 인터넷 동영상들 보면, 저렇게 지은집 들어가서는 무서워서 잠도 안오겠더군요. 근데 또 그렇게 지은 집들도, 다 짓고 나서 겉보기는 멀쩡해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e19b58 [쪽지 보내기]
2023-03-14 03:40
No.
1275411244
@ Justin Kang (강태욱) 님에게...
네 님께서 공사비를 어느정도 생각하느냐에 따라이겠지요
1억이상 생각하면 몰라도 제경험으로
봐서는 필리핀집도 공사업자에 따라
괜찮은 집도 많읍니다
시시한 골조공사보다 1,2층 정도라면
블럭골조공사가 생각보다 튼튼합니다
잘하실려면 철근을 13미리쓰고
기초공사만 조금신경쓰면
벽돌과 벽돌속에 철근 시멘트와 기둥콘크리트가 서로 물고 있어 튼튼합니다
시골가정집 정도라면 너무걱정안하셔도
될것같읍니다 ㅎ ㅎ
네 님께서 공사비를 어느정도 생각하느냐에 따라이겠지요
1억이상 생각하면 몰라도 제경험으로
봐서는 필리핀집도 공사업자에 따라
괜찮은 집도 많읍니다
시시한 골조공사보다 1,2층 정도라면
블럭골조공사가 생각보다 튼튼합니다
잘하실려면 철근을 13미리쓰고
기초공사만 조금신경쓰면
벽돌과 벽돌속에 철근 시멘트와 기둥콘크리트가 서로 물고 있어 튼튼합니다
시골가정집 정도라면 너무걱정안하셔도
될것같읍니다 ㅎ 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Vhan [쪽지 보내기]
2023-03-16 10:00
No.
1275411764
@ e19b58 님에게...
필리핀에서 정식 규격으로 13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12 다음이 16 이죠, 13미리는 한국 규격입니다.
참고만 하시길..
필리핀에서 정식 규격으로 13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12 다음이 16 이죠, 13미리는 한국 규격입니다.
참고만 하시길..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 (강태욱) [쪽지 보내기]
2023-03-14 06:18
No.
1275411248
@ e19b58 님에게...
공사비야 호구 안당하고 가능한한 싸게, 하지만 가능한한 잘 짓고 싶은거죠 뭐. 예산이야 구체적인 계획들이 나와야 정해지지 않겠습니까. 당장 지을 것도 아니라서 길게 보고 취미삼아 가끔씩 공부하려고 합니다.
제가 잘은 모르지만 그래도 수박 겉핧기로 철근 넣는 공부를 좀 하고 있는데요, 필리핀 건축 규정들이 전부 나름 이유가 있는 것들이더군요. 기둥 둘러싸는 철근들이 똑같은 숫자가 들어가도 다 같은 간격이 아니라 어떤 부분든 더 촘촘하게, 보에 가로철근이 양쪽 끝은 하부철근을, 가운데는 상부철근을 더 넣고, 철근 끝 마무리는 어떻게 하고... 다들 기술적인 근거를 가지고 하라는건데 유투브 보면 그런거 하나도 신경 안쓰는게 너무 많아요. 특히 2층건물만 되도 훨씬 더 중요 할것 같은데, 좀 알고 보니까 저 저 저 저래도 되나 싶은 비디오들 유투브에 많아요.
같은 자재를 써도 조금만 더 공정에 신경쓰면, 아니면 자제를 조금만 더 써도 강도가 훨씬 더 되는 것들. 알면 굳이 안지킬 이유가 없습니다. 특히 공정 부분은 필리핀 인건비도 싼데 조금 더 천천히 가면 안될 이유가 없고요.
물론 제대로 하는 업체도 많겠지만, 안그런 곳도 상당히 많으니 (유투부에 자랑스럽게 올린 곳들만 봐도), 또 하자가 생기는 사례도 많으니, 정말 비싸고 신용있는 곳에 맡기는 거 아니라면 건축주가 나서서 챙겨야 한다는 취지였습니다.
신경안쓰다가 사진처럼 되면 누가 책임 져줍니까? 저 현장이 제가 시장가는 길목에 있어서 일주일에 몇번씩 보게되니 잊기도 쉽지 않네요.
공사비야 호구 안당하고 가능한한 싸게, 하지만 가능한한 잘 짓고 싶은거죠 뭐. 예산이야 구체적인 계획들이 나와야 정해지지 않겠습니까. 당장 지을 것도 아니라서 길게 보고 취미삼아 가끔씩 공부하려고 합니다.
제가 잘은 모르지만 그래도 수박 겉핧기로 철근 넣는 공부를 좀 하고 있는데요, 필리핀 건축 규정들이 전부 나름 이유가 있는 것들이더군요. 기둥 둘러싸는 철근들이 똑같은 숫자가 들어가도 다 같은 간격이 아니라 어떤 부분든 더 촘촘하게, 보에 가로철근이 양쪽 끝은 하부철근을, 가운데는 상부철근을 더 넣고, 철근 끝 마무리는 어떻게 하고... 다들 기술적인 근거를 가지고 하라는건데 유투브 보면 그런거 하나도 신경 안쓰는게 너무 많아요. 특히 2층건물만 되도 훨씬 더 중요 할것 같은데, 좀 알고 보니까 저 저 저 저래도 되나 싶은 비디오들 유투브에 많아요.
같은 자재를 써도 조금만 더 공정에 신경쓰면, 아니면 자제를 조금만 더 써도 강도가 훨씬 더 되는 것들. 알면 굳이 안지킬 이유가 없습니다. 특히 공정 부분은 필리핀 인건비도 싼데 조금 더 천천히 가면 안될 이유가 없고요.
물론 제대로 하는 업체도 많겠지만, 안그런 곳도 상당히 많으니 (유투부에 자랑스럽게 올린 곳들만 봐도), 또 하자가 생기는 사례도 많으니, 정말 비싸고 신용있는 곳에 맡기는 거 아니라면 건축주가 나서서 챙겨야 한다는 취지였습니다.
신경안쓰다가 사진처럼 되면 누가 책임 져줍니까? 저 현장이 제가 시장가는 길목에 있어서 일주일에 몇번씩 보게되니 잊기도 쉽지 않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DUK BUL [쪽지 보내기]
2023-03-14 08:49
No.
1275411270
@ Justin Kang (강태욱) 님에게...
그니까 대부분의 경우 투입 금액에 비례한다니까요
비용을 아끼려면 스스로 콘트락터+십장의 노릇을 해야 하는 거고
예산이 있으면 검증된 좋은 컨트락터와
좋은 설계 사무소에서 내진설계등이 된 좋은 도면을 가지고
진행을 하면 되는 겁니다
올린 사진은 체계적으로 습득한 지식이나 경험이 아닌
노가다 판에서 시다일부터 하면서 배운 지식으로
어찌어찌 십장이 된 사람에게 맡겨서 나온 작품으로 밖에 안 보입니다
전형적인 시골 대충대충 일당 받고 하는 집짓기
그니까 대부분의 경우 투입 금액에 비례한다니까요
비용을 아끼려면 스스로 콘트락터+십장의 노릇을 해야 하는 거고
예산이 있으면 검증된 좋은 컨트락터와
좋은 설계 사무소에서 내진설계등이 된 좋은 도면을 가지고
진행을 하면 되는 겁니다
올린 사진은 체계적으로 습득한 지식이나 경험이 아닌
노가다 판에서 시다일부터 하면서 배운 지식으로
어찌어찌 십장이 된 사람에게 맡겨서 나온 작품으로 밖에 안 보입니다
전형적인 시골 대충대충 일당 받고 하는 집짓기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 (강태욱) [쪽지 보내기]
2023-03-14 09:52
No.
1275411286
@ DDUK BUL 님에게...
"비용을 아끼려면 스스로 콘트락터+십장의 노릇을 해야 하는 거고"
제말이 그말입니다.
"비용을 아끼려면 스스로 콘트락터+십장의 노릇을 해야 하는 거고"
제말이 그말입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DUK BUL [쪽지 보내기]
2023-03-14 12:33
No.
1275411331
@ Justin Kang (강태욱) 님에게...
저도 집사람이 비용 아낀다고 나무로 대충 지어 가는 거 보고
모두 다시 밑에서 부터 공구리 치고 2층 기등 들 모두 공구리 제대로 쳐서
다시 만들다 보니 2층짜리 방2개에 대지는 330스퀘어지만
집 면적만 하면 60~70스퀘어 되는데 거의 2M 들어갔습니다
이게 메인 하우스대신 우선 게스트 하우스식으로 구석에 먼저 만들자
한 게 이렇게 된 거임.
나머지 땅에 메인 하우스 지으면 또 얼마가 더 들어갈 지 ㅎㅎ
태풍하고 지진은 별로 걱정없는데
비 많이 오면 집 주변이 홍수가 나서
다시 Fill up 하고 있고
창문보다는 낮게 콘크리트 펜스 그리고 마당도 콘크리드로 돌리고 있는 중.
난 콘트락터 역할
마눌은 십장 역할 ㅎㅎ
저도 집사람이 비용 아낀다고 나무로 대충 지어 가는 거 보고
모두 다시 밑에서 부터 공구리 치고 2층 기등 들 모두 공구리 제대로 쳐서
다시 만들다 보니 2층짜리 방2개에 대지는 330스퀘어지만
집 면적만 하면 60~70스퀘어 되는데 거의 2M 들어갔습니다
이게 메인 하우스대신 우선 게스트 하우스식으로 구석에 먼저 만들자
한 게 이렇게 된 거임.
나머지 땅에 메인 하우스 지으면 또 얼마가 더 들어갈 지 ㅎㅎ
태풍하고 지진은 별로 걱정없는데
비 많이 오면 집 주변이 홍수가 나서
다시 Fill up 하고 있고
창문보다는 낮게 콘크리트 펜스 그리고 마당도 콘크리드로 돌리고 있는 중.
난 콘트락터 역할
마눌은 십장 역할 ㅎㅎ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 (강태욱) [쪽지 보내기]
2023-03-14 22:29
No.
1275411439
@ DDUK BUL 님에게...
일단 살집은 하나 지으셨으니 길게 보고 천천히 하시면 되겠네요.
일단 살집은 하나 지으셨으니 길게 보고 천천히 하시면 되겠네요.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DDUK BUL [쪽지 보내기]
2023-03-15 13:37
No.
1275411588
@ Justin Kang (강태욱) 님에게...
레스트 하우스 입니다 ㅎㅎ
거기는 현재 마눌이 머물고 있고
나는 마닐라 집에 머물면서 나름 자유를 ㅎㅎ
좀 더 늙으면 같이 내려가서 살 게 되겠죠
레스트 하우스 입니다 ㅎㅎ
거기는 현재 마눌이 머물고 있고
나는 마닐라 집에 머물면서 나름 자유를 ㅎㅎ
좀 더 늙으면 같이 내려가서 살 게 되겠죠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Justin Kang (강태욱) [쪽지 보내기]
2023-03-16 01:20
No.
1275411730
@ DDUK BUL 님에게...
많이 자유로우시군요.
저는 집에서 재택을 하는데, 와이프 학교가 비싼 사립임에도 해당학과는 이번학기까지 거의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어요. 서로 책상 마주보면서 공부하고 일하느라 지난 일년간 몇미터 이상 떨어져 있었던 시간이 얼마 안됩니다.
많이 자유로우시군요.
저는 집에서 재택을 하는데, 와이프 학교가 비싼 사립임에도 해당학과는 이번학기까지 거의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어요. 서로 책상 마주보면서 공부하고 일하느라 지난 일년간 몇미터 이상 떨어져 있었던 시간이 얼마 안됩니다.
@알림 : 코멘트를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을 하십시오.
No. 92622
Page 1853

태국 여성에 '작업' 걸다 뉴스까지..
(4)
Alissa
803
23-03-28



재치잇고.유머스러운남자가되고싶네요 (3)
02b3d6
782
23-03-28


필리핀의 운전 습관 (19)
Justin Kang (강태...
1,784
23-03-28


필리핀 코스트가드 기부건에 관한 내용.
(2)
1
Neo Park
1,072
23-03-28




필리핀 이민 고민 (41)
c6544e
2,159
23-03-27


일요일 일요일밤에
(8)
1
파블로조
1,399
23-03-26



코스터
(12)
1
파블로조
2,754
23-03-25



싸게 항공권 구매 팁 (2)
희망나무
2,397
23-03-24

Deleted ... ! (2)
김태호@구글-ZP
599
23-03-24

Deleted ... ! (13)
이정수(John Lee)
2,130
23-03-24

가내수공업
(6)
2
파블로조
2,369
23-03-24



스마트폰 eSIM 관련 질문드려요. (3)
magi1919
1,257
23-03-24

이제 겨우 4년차
(8)
2
둥근자갈
2,321
23-03-24



야간작업
(25)
1
파블로조
3,488
23-03-23



필리핀은 기본 성능기록부 같은게 존재하나요? (15)
독종귀족@네이...
950
23-03-23

bmw 중고차를 보시는 방법 (4)
02b3d6
1,120
23-03-23

틱톡, 크레인, 풍선, 쇼핑앱 등
1
DDUK BUL
502
23-03-23


Deleted ... ! (19)
이정수(John Lee)
3,300
23-03-23

글로브심카드등록 비자소지자의 경우 (1)
hanbin001
1,427
23-03-23

디누구안
(23)
1
파블로조
6,542
23-03-22



개팔자 상팔자. (3)
3a97ae
2,849
23-03-22

필리핀 일주여행 계획
(39)
1
Justin Kang (강태...
4,891
23-03-22



빙이 갑자기 튀어나옴
(13)
DDUK BUL
4,307
23-03-22

